본문 바로가기

반려견 정보

삽살개 고전문학 작품 "숙향전"에 참조

 대한민국에는 여러 종류의 멋진 품종의 개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비주얼이 다른 개들과는 사뭇 다른 개가 있으니 바로 삽살개이다. 이 품종의 원산지는 대한민국이다. 삽살개는 천연기념물 368호로 1992년 공인되었다. 이 삽사리 이름은 백 삽사리 그리고 바둑이 삽사리라고 부른다. 삽살개는 우리나라 고전 문학작품 속에서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전 문학작품으로는 "숙향전"이 있다. 숙향전에 나온 삽살개는 주막에서 살게 된 숙향이와 삽살개 이야기이다. 삽살개는 숙향이를 충실하게 돌본다. 삽살개는 숙향의 편지도 전해주고 답장도 받아온다. 도적도 물리치고 숙향이를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킨다. 삽살개는 숨겨놓은 보물을 찾는 활약도 한다. 숙향이가 편안해지자 본인의 도움이 필요 없게 된 것을 안다. 삽살개는 자신의 무덤 장소를 숙향이에게 알려주고 일생을 마친다. 삽살개는 진돗개와 풍산개같이 특정한 장소에만 있었던 게 아닌 것 같다. 삽살개가 이렇게 문학작품에 등장한 데는 여러 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삽살개는 주인에게 절대 충성 순종하며 온순하다. 삽살개는 애교도 많이 피우는 견종 중 하나이다. 삽살개의 이름은 '삽사리' 또는 '삽사리'라고 불린다. 삽살개는 털이 긴 개라는 뜻이다. 삽사리는 귀신을 쫓는 퇴마 견으로 알려져 있다. 삽사리는 옛날부터 설화에 의하면 '사자 방'이라 불렸다. 이 뜻은 사자 새끼를 뜻한다. 삽살개의 이름을 한자로 뜻풀이를 해보면 '액운(煞·살)을 쫓는(揷·삽) 개라는 뜻이다. 삽살개는 소형 개가 아니고 중 대형 개다. 삽사리는 진돗개보다 큰데 이 품종의 키가 무려 50cm~56cm 정도나 되고 몸무게는 평균적으로 16kg~22kg 정도나 되는 소형견보다는 훨씬 크고 대형견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라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크기로 보면 삽살개는 중형견이고 소형견이 아니다. 만약에 삽사리라는 이름으로 소형견을 샀다면 장모종의 외국견 잡종일 가능성이 크다. 삽살개 털의 색은 두 개로 나뉜다. 하나는 청색(검은 삽살개를 청삽사리라 한다-사진 참조).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황색이다. 최근에는 백색이나 점이 있는 색깔도 태어나고 있다. 삽살개는 긴털 때문에 느긋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개들과 합사 하게 되면 서열정리를 하며 영역 다툼을 벌일 수 있다. 삽살개는 진돗개와 비슷하게 품성이 충직해 한 번 주인은 영원한 주인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 한다. 삽사리는 주인과 떨어지면 잊지 못하는 성품이다. 삽살개는 산책 또는 운동 시에도 늘 주인 곁에 있으려는 습성이 있다. 삽살개는 머리도 좋은 편이다. 삽살개는 훈련만 잘 시킨다면 훌륭한 자질을 가진 구조견이 될 수도 있다. 삽살개는 특히 인내심이 대단하다. 삽살개는 힘든 일이나 고통을 당해도 좀처럼 표현하지 않고 극복해내려고 한다. 삽살개의 주인은 늘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 몸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좋다. 삽살개의 털 색깔은 백색에 가까운 크림색이 많다. 다른 색으로는 고동색, 흑색, 청회색, 가끔 바둑이 패턴의 긴 털을 가지고 있다. 털이 긴 다른 품종 예를 들면 요크셔테리어, 웨스턴 테리어, 시츄처럼 털이 길게 자란다. 미용을 해주지 않으면 털이 길어져 얼굴 주변을 덮은 모습을 지닌다. 삽살개는 정규적인 목욕과 빗질이 필요한 견종이다. 관리가 안 되면 양의 탈을 쓴 개 누더기 개가 된다. 삽살개 주인이 털을 관리할 자신이 없으면 단모종처럼 털을 짧게 깎아 주는 편이 좋다. 거의 모든 개가 그렇듯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관리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삽살개가 스트레스를 안 받으려면 산책을 정규적으로 시켜주고 주인과의 서열화 교육을 제대로 훈련하면 된다. 주인을 윗 서열로 인식하게 되면 주인을 잘 따르고 주인을 함부로 하지 않게 된다. 주인의 명령에 복종하게 된다. 그러면 주인의 말을 잘 들어 다른 사람을 공격하지 않게 된다. 주인과의 유대감이 중요한다. 듬직하고 귀여운 외모의 삽사리 사랑으로 돌보아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천연기념물로 키우도록 합시다.